[2023]특례보금자리론 개편안 |내집마련|주택청약|대출한도
특례보금자리론
안녕하세요 수염쟁이입니다.
좋을줄만 알았던 주택청약 당첨이 22년 금리상승으로 인해 아파트 가격도 떨어지고 이자율은 높아지고
갈수록 점점 힘들어만 지고 있네요
그래도 다행히 정부에서는 조금씩 개편안을 준비하면서 주택을 매매할 때 조금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
보금자리론의 기존형태에서 개편안을 내놓았습니다.
주택가격 5억 >> 9억 한도상향
5억까지 대출이 가능했던 주택가격이 9억까지 한도상향되어 대출이 수월해 졌습니다.
대출한도 3.6억 >> 5억 한도상향
기존 대출한도가 3.6억에서 5억까지로 받을 수 있게 상향 되었습니다.
소득한도 1억원 >> 한도없음
-소득한도가 있어야지만 대출이 가능했지만 이번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하면 소득한도 없이 대출이 가능합니다.
금리 4~5% 대
-최대 7%이상까지도 올라가고 있는 현재 4~5%대 이자율을 적용한다고 하니 내집 마련하시는 분들께는
도움이 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23년 1년동안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 이라고 하니 올해 내집마련 하시는 분들은 잘 활용하셔서
내집마련의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.
1 | 2023년도 보금자리론 통합 운영계획(案) |
□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 상환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서민·실수요자 부담경감 확대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
□ 보다 많은 차주의 금리부담 경감을 위해 내년 한시적(1년)으로 일반형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보금자리론에 통합(특례보금자리론)운영할 계획입니다.
ㅇ 주택가격이 9억 이하면 소득에 관계없이 모두 특례보금자리론* 이용이 가능합니다.(현재 보금자리론은 주택가격 6억 이하, 소득 7천만원 이하 차주이용가능)
* 대출한도도 최대 3.6억원에서 5억원으로 확대
- 신규 구매·대환·보전*용 대출 모두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* 예) 담보물건에 대한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 주택담보대출
ㅇ ‘23년중 실시예정이었던 일반형 안심전환대출 및 적격대출은 특례보금자리론에 통합하여 운영됩니다.
※ 특례보금자리론 운영기간 중 적격대출 취급을 중단합니다.
ㅇ 기존 보금자리론에 기반한 단일금리 산정체계로 운영하되, 기존방식대로 산정된 적정금리*에서 일정수준 인하한 우대금리를 적용할 예정입니다.
* 적정금리는 MBS 발행금리 및 유동화 제비용 등을 감안한 손익이 균형이 되는 대출금리 수준
ㅇ 우선,‘23년초부터 1년간 운영 예정입니다.
□ 세부적인 시행일정, 금리우대 등은 전산개편, 금융기관 준비기간 등을 감안하여 추후 공지할 예정입니다.
< 보금자리론 통합 운영계획(案) >
상품 | 현행 | 개편 | ||
우대형 안심 (일반형, 당초계획) |
보금자리론 | 적격대출 | 특례보금자리론2) | |
주택가격 | 6억원 (9억원잠정) |
6억원 | 9억원 | 9억원 |
대출한도 | 3.6억원 (5억원잠정) |
3.6억원 | 5억원 | 5억원 |
소득한도 | 1억원 (없음잠정) |
7천만원 | 없음 | 없음 |
금리 | 3.8~4.0% (보금금리-10bp잠정) |
4.25~4.55% | 4.55~6.911)% | 단일금리 산정체계 (+우대금리 적용) |
1) 11.1일 기준 적격대출 금리 상단
2) 신규구매·보전·상환(대환) 목적별로 구분, 안심전환대출은 상환 목적 특례보금자리론에 대응
2 | 차주 유의사항 |
□ 대출을 신청하는 시점에 따라 적용금리, 신청자격 등이 변화되는 만큼 적용되는 제도를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➊ 올해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이용가능 차주가 내년에 대환용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시, 현재보다 대출금리가 상승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.
➋ 그간 누적된 시장금리상승으로 인한 보금자리론 금리 인상이 연말 예정*된 만큼, 보금자리론 대출이 필요하신 분들은 미리 신청할 필요가 있습니다.
* 누적된 금리상승으로 12.20일경 금리인상 예정(조달금리, 시장상황 등 감안 주금공이 인상폭 결정·발표예정)
단,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금리는 올해 중 불변[3.8~4.0%(저소득·청년 3.7~3.9%)]
<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신청·접수기관 >
신청·접수기관 | 온라인 접수 처 | 문의전화 |
주택금융공사 | 스마트주택금융(앱)/ https://www.hf.go.kr | 1688-8114 |
국민은행 | KB스타뱅킹(앱) | 1588-9999 |
신한은행 | 신한 쏠(SOL) (앱) | 1599-8000 |
농협은행 | NH스마트뱅킹 (앱) | 1661-3000 |
우리은행 | 우리원더랜드 (앱) | 1599-8300 |
하나은행 | 하나원큐 (앱) | 1599-1111 |
기업은행 | i-ONE Bank(개인) (앱)/ https://www.ibk.co.kr | 1588-2588 1566-2566 |
-출처 금융위원회 보도자료-
금융위원회 보도자료